신용등급표(신용점수등급표), 신용점수제

내 신용점수는 몇 등급일까? 신용등급표(신용점수등급표)

내 신용점수는 많이 알고계실겁니다.
어렵지 않게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이죠.
하지만 종종 신용등급이라고 해서 1~10등급까지 나누는 경우가 있는데 왜 그럴까요?
이유는 이전에는 신용등급을 매겼었지만 21년 1월부터 신용등급표가 폐지되고 신용점수제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.
신용점수제로 바뀌었지만 큰 흐름은 비슷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등급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오늘은 이전 사용하던 신용등급표(신용점수등급표) 구간별로 알아보고 그 의미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.

신용등급표(신용점수등급표), 신용등급 확인방법

신용등급표(신용점수 등급표) 구간기준

신용등급표(신용점수등급표)

과거 신용 점수 등급표의 경우 이렇게 구성되었습니다.
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신용평가사 두 곳(KCB, NICE)을 참조하고 있는데요.
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신용점수를 이야기 할 때에는 KCB(올크레딧)사의 신용점수로 이야기합니다.
또한 상위등급에 대한 기준이 상대적으로 엄격하고, 신용점수 책정도 더 엄격하게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.

1~10등급 신용자 분포는 균일하지 않다.

이렇게 신용등급표를 나눠놨지만 1등급부터 10등급까지 사람들이 골고루 분산되어있지 않습니다.
오히려 1~3등급의 고신용등급에 많은 사람들(약 50%)이 분포되어 있고, 4~6등급의 중간 신용등급에는 약 30%가 분포하며, 나머지 사람들이 저 신용등급에 분포되어 있다고 합니다.
신용관리를 조금만 신경쓰면 최소한 중간은 가고, 관리를 잘 해주기만 하면 고 신용등급으로도 충분히 올라갈 수 있다는 말이겠죠?

신용등급 별 혜택, 패널티

고신용등급

신용등급이 중간에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신용카드 발급이나 대출승인에 거절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. 또한, 승인이 나오더라도 이자가 높아 부담이 되기 마련이죠. 따라서 최소한 신용점수 700점 이상, 즉 KCB기준으로 5등급 이상까지는 맞추어 놓아야 패널티를 줄일 수 있습니다.

고신용등급2

그리고 큰 혜택은 아니지만 신용점수가 상승하면서 800점 상위권까지 올라가게 되면 고신용등급으로 대출이자에 대한 우대금리 등 혜택을 볼 수 있게 됩니다.
이렇게 우대금리로 낮은 금리를 이용하게 되면 월 이자 납입금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고 안정적인 자산운용이 가능하겠죠?

구체적인 신용점수 관리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.

신용점수 관리방법, 평상시 신용관리 이렇게 하세요. (신용관리방법)

내 신용점수를 조회하는 방법은?

이미 신용점수 관련된 사이트를 참조하시는 분들이 많을겁니다.
위에서 말씀드렸던 대로 신용평가사가 2군데 있는데 두 신용점수를 모두 조회할 수 있는 어플은 4군데가 있습니다.

그 외에도 신용점수를 조회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위 네 어플에서 조회할 경우 KCB, NICE 신용점수 두 가지를 모두 한 번에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어플이 있다면 바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

게시됨

카테고리

작성자